반응형 기독교5 '하나님을 향한 갈망'에 설교자들이 강단에서 기억해야 할 6가지 존 파이퍼'설교자들이 강단에서 기억해야 할 6가지' 첫째, 사람들에게 본문의 내용이 무엇인지,우리의 삶에 적용해 볼 수 있는 내용이 무엇인지 보여주지 않는 설교는하나님의 영광스러운 계시로서의 말씀의 속성을 존중하는데 실패한 설교이다.우리는 이러한 계시가 어떤 내용인지, 우리 삶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경에서 본 바에 대한 설명을 기뻐하지 않는 설교자들은성경 볼 시간을 가지지 못할 정도로 게으르다는 점,이를 볼 수 없을 만큼 영적으로 둔감하다는 점,이를 보면서도 어떤 특별한 것을 느끼지 못하는 무감각하다는 점을 드러내고 있다. 셋째, 본문의 내용과 동떨어진 초점을 갖고, 본문에 분명한 뿌리를 두지 않은 설교는본문 내용과 설교의 권위를 약화시킨다.본문에 분명하고 확실히 .. 2024. 12. 11. 습관(habit)의 어원 습관(habit)의 어원 라틴어 ‘습관’이라는 단어는 ‘하비투스 habitus’이다. 여기서 habit이 유래했다.habitus라는 말의 유래는 ‘습관’ 이라는 뜻 이외에도 ‘수도사들이 입는 옷’이라는 의미도 있다.수도사들은 매일 똑같은 시간에 일어나 아침 기도를 바치고 난 뒤오전 노동을 하고 점심식사를 하기 전 낮 기도를 드렸다.점심 식사 뒤에는 잠깐 휴식을 취한 뒤에 오후 노동을 하고 저녁 식사 전에 저녁 기도를 드렸고,저녁 식사가 끝나면 잠깐의 휴식 뒤에 잠자리에 들기 전 하루 일과를 마치는 끝에 또 기도를 드렸다.그래서 수도사들이 입는 옷 ‘habitus’에서매일 똑같은 시간에 똑같은 것을 한다는 의미에서 ‘습관’이라는 뜻이 파생되었다. 2024. 11. 22. 그 사랑 얼마나 / 그 사랑 / 그 이름 아름답도다 (G코드, 찬양악보, 악보다운) 안녕하세요. '함께하길 The-One 하는 사역자' 입니다.이번에는G코드, 그 사랑 얼마나 / 그 사랑 / 그 이름 아름답도다 악보를 공유합니다.(※ 무단배포는 금지합니다.) 그 사랑 얼마나 / 그 사랑 / 그 이름 아름답도다 2024. 11. 22. 현대인에 어울리는 뉴시티 교리문답 (팀 켈러, 리디머 장로교회) 안녕하세요. '함께하길 THE-ONE 하는 사역자'입니다.신약시대 많은 이단들이 있었습니다.그래서 교회의 근간이 흔들리고 성도들이 유혹되어신앙을 버리는 일이 많이 생겼죠. 그래서 그때부터 교회가 만든 것이 있습니다.바로 '신학'을 만들고 '교리'와 '신앙고백서'입니다. 저는 목회자로 안타까운 것이요즘에는 '교리'나 '신앙고백서'와 같이성경과 신앙의 뼈대를 잡아주는 교육을교회에서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가장 많이 알려진 교리문답서는'웨스트 민스터 소요리문답'과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일 것입니다. 물론 당연히 알아야 하는 매우 중요한 교육이죠.하지만 그것을 재해석해서 오늘날에 맞게 만든 소요리 문답서가 있습니다.바로 '뉴시티 교리문답'입니다. 뉴시티 교리문답은 '팀 켈러' 목사님이 시무하신'리디.. 2024. 11. 20. '요일'의 유래2, 요일 제도 어떻게 만들어졌나?(콘스탄틴, 율리우스) 안녕하세요. 함께하길 THE ONE 하는 사역자입니다. 이번에는 우리가 사용하는 달력은 일요일부터 토요일까지로 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요일 제도는 언제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1. 요일 제도의 시작 '요일'이 제도화된 것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콘스탄티누스 황제 두 사람의 영향력이 컸습니다. 먼저 로마의 정치가 중 한 명인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기원전 46-45년에 율리우스력(Julian calendar)이라는 양력 역법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월요일, 화요일과 같은 '요일' 제도가 만들어진 것은 율리우스력을 보완하여 7일이 기본이 되는 요일제도를 도입하고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명령에 의해서 만들어졌습니다. 로마에서 가장 중요한 태양신의 날(Sunday)을 첫째 날로 정하여 휴일로 선포하였습니다. 2... 2023. 8. 5. 이전 1 다음 반응형